./../../
  I D :    암호 :    ID저장      회원가입    네게(쥔장) 쪽지보내기    메모장    각종계산기    컬러빠렛    이모티콘(프레임, 새창)    보유장비
프레임
(Frame)

(Suspension,Fork)
드라이브
(Drivetran)
브레이크
(Break system)

(Wheels)
기타부품
(ETC)
안전장구
(Protective gear)
공구
(Tool)
앞변속기 (Front_der) 뒷변속기 (Rear_der) 카셋트 (Cassette-Sprocket) 바텀브라켓 (BB) 변속레버 (Shifter) 크랭크 (Crank)

좌측에 보이는 것은 Top Swing방식의 앞쪽 변속기있다.
Swing방식이란 그림을 보면 크램프밴드가 변속플랫(체인이 지나가는 구멍)보다 윗쪽에 있으면 바텀스윙
아랫쪽에 있으면 탑스윙으로 구분된다.
그림에서 보면 1번은 변속 케이블을 조이는 볼트이며
2번은 변속기의 한계점을 설정하는 볼트로 Stroke Adjust Screws라고 시마노측에선 부른다.
3번은 클램프밴드볼트로 싯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좌측에 보이는 것은 Bottom Swing방식의 앞쪽 변속기있다.
그림에서 보면 3번은 변속 케이블을 조이는 볼트이며
2번은 변속기의 한계점을 설정하는 볼트로 Stroke Adjust Screws라고 시마노측에선 부른다.
1번은 클램프밴드볼트로 싯튜브에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이다.
보면 쉽게 바텀스윙과 탑스윙방식의 차이를 알수 있다.

이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bb shell과 바텀튜브와 탑튜브의 용접부위가 두껍거나 해서 탑스윙 방식을 장착하지 못할경우 사용한다. 그외에는 궂이 이것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3가지 드레일러중 가장 설치가 간단한반면 가장 지저분하다.

좌측에 보이는 것은 앞쪽 변속기는 BB에 장착하는 E-type 변속기로 항거용이라고도 한다.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이 구조는 탑스윙방식 이외에는 나올수가 없다.
(BB가 크랭크보다 높을수 없기때문이다.)
BB에 장착하기 때문에 외모는 3가지중 재일 깔끔하다.
그러나 드레일러(변속기)를 좌우로 조정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거용 변속기는 전용 프레임에만 장착이 가능하다.

우측에 보이는 드레일러는 시마노사에서 생산하고 있는 XTR등급의 모든 모델이다.
가장 윗쪽에 있는것이 03년도 xtr이며 그 이하는 03년도 이하 모델들이다.
그러나 구조는 모두 동일하며 단지 타입만 다른것이므로 보고 익히기 바란다.
03년도 모델에는 채택되지 않았는데 그 이전 xtr 앞쪽 변속기 모델중 탑스윙방식은 디퍼런스플렛을 지원한다.
이것은 각각의 변속단수에 따라서 날개의 너비가 변화되는 방식으로 빠르고 부드럽게 변속을 할수 있다.
그러나 03년도에서 채택되지 않은것을 봐서는 그리 큰 효과가 없는것으로 생각된다.

내가 현재02년도 xtr을 사용하고 있는데 매우 조용하게 변속되는 것은 아무 만족스럽니다.

변속기는 모든 전기종이 거의 차이가 없으며 MTB용은 시마노가 점령해버릴정도이다.
궂이 xtr을 선택할 필요는 전혀 없으며 무게에 예민하지 않는이상 과도한 지출은 후회를 낳는다.




Copyright 2003-2025 ⓒ 김종호. All rights reserved. kimjongho.co.kr kimjongho.kr kimjongho.net kimjongho.com